본문 바로가기

우리 아이의 편식,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sunfa-log 2025. 3. 18.

아이들의 편식은 많은 부모에게 고민거리입니다. 영양 균형을 맞춘 식사를 제공하려 해도 아이가 외면하거나 손대지 않으면 부모는 속상할 수밖에 없죠. 특히 하루에도 몇 번씩 식사를 준비하는 부모 입장에서는 더 큰 스트레스가 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아이의 편식이 생기는 이유, 연령별 편식 대처법, 그리고 부모가 실천할 수 있는 해결 방법을 소개합니다.

편식하는 아이

편식의 원인, 왜 특정 음식을 싫어할까요?

아이들이 특정 음식을 거부하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대표적인 원인을 살펴보겠습니다.

1. 식감이 마음에 들지 않아요

딸기나 토마토의 흐물흐물한 질감을 싫어하는 아이가 많습니다. 특히 감각이 예민한 아이들은 특정 식감을 극도로 꺼리기도 합니다.

2. 과거의 나쁜 경험

어떤 음식을 먹고 배가 아팠거나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난 적이 있다면, 다시 그 음식을 먹으려 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3. 맛이 싫어요

쓴맛이나 신맛은 특히 어린아이들이 거부감을 느끼기 쉽습니다.

4. 모양이나 냄새가 불쾌해요

예를 들어, 생선의 외형이나 향이 거슬리는 경우, 먹기 전부터 거부감이 들 수 있습니다.

5. 새로운 음식이 낯설어요

낯선 것에 대한 두려움이 강한 아이들은 새로운 음식을 시도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6. 배고프지 않아요

간식을 많이 먹거나 활동량이 부족하면 식욕이 떨어져 밥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이스크림이나 과자는 먹고 싶어 할 수도 있죠.

7. 먹는 것이 스트레스예요

강요받아 억지로 먹어야 했던 경험이 쌓이면, 식사 자체를 부담스럽게 느낄 수 있습니다.

8. 부모님의 식습관을 따라요

부모가 편식을 하면 아이도 따라 하기 쉽습니다. 예를 들어, 부모가 특정 음식을 기피하면 아이는 그 음식을 아예 접할 기회조차 적어질 수 있습니다.

연령별 편식 대처법

연령에 따라 아이들의 식습관은 달라집니다. 각 연령대에 맞는 해결 방법을 살펴볼까요?

이유식 시기 (5개월~18개월)

식감과 먹기 쉬운 크기 조절
너무 딱딱하거나 크면 거부할 수 있습니다. 아이의 성장에 맞게 질감과 조리법을 조정하세요.

양념을 다양하게 바꿔보기
같은 음식도 양념을 달리하면 흥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좋아하는 음식을 포함시키기
요구르트, 바나나 등 아이가 선호하는 음식을 활용해 편식을 줄일 수 있습니다.

식사 시간을 정해 두기
20~30분 내에 식사를 마치도록 하고, 너무 오래 끌지 않도록 합니다.

귀여운 식기나 프레젠테이션 활용
아이들이 좋아하는 캐릭터 그릇이나 예쁜 모양으로 음식 플레이팅을 하면 관심을 가질 수 있습니다.

2~3세 (자기주장이 강해지는 시기)

억지로 먹이지 않기
강제로 먹이면 오히려 거부감이 커집니다.

조금이라도 먹으면 칭찬하기
한 입이라도 시도했다면 충분히 격려해 주세요.

아이의 감정을 활용하기
“당근이 네 입속으로 들어가고 싶어 해!” 같은 표현으로 아이가 흥미를 갖도록 유도해 보세요.

다양한 조리법 시도
예를 들어, 고기를 싫어하는 아이에게 다진 고기로 만든 요리를 주거나, 부드럽게 조리하면 먹을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4~5세 (사회성이 발달하는 시기)

식사 예절에 너무 엄격하지 않기
젓가락 사용법이나 매너보다 즐거운 식사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생활 리듬 조정
너무 피곤하면 식사에 집중하기 어렵습니다. 저녁을 먹기 전에 낮잠을 줄이는 등 조절이 필요합니다.

간식 조절
초콜릿, 사탕보다는 과일, 주먹밥 같은 건강한 간식을 준비하세요.

요리 참여 유도
양배추 찢기, 샐러드 만들기 같은 간단한 요리를 함께 하면 음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집니다.

장보기 함께하기
슈퍼마켓에서 식재료를 직접 고르게 하면 아이가 음식에 대한 호기심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음식 관련 그림책 읽기
음식이 주제인 그림책을 함께 읽으면 자연스럽게 편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초등학생

간식 관리와 규칙적인 식사 습관 형성
편의점 음식에 익숙해지지 않도록 간식 습관을 조절해야 합니다.

영양소에 대해 이야기하기
“고기는 근육을 만들어줘!” 같은 설명을 해주면 아이들이 음식의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직접 요리하거나 채소 재배해 보기
간단한 요리를 하거나 작은 화분에서 채소를 키워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학교 급식 활용
학교 급식에서 새로운 음식을 접하면서 편식을 줄일 수 있습니다.

중학생 이후

건강한 식습관 형성
다이어트로 끼니를 거르는 경우가 많아질 수 있습니다. 무리한 식이 조절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해 주세요.

정신적 스트레스 관리
공부나 친구 관계 등 스트레스가 클 경우 식사에 소홀해질 수 있습니다. 아이의 심리 상태를 살펴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편식에 대해 잔소리하지 않기
이 시기에는 간섭이 지나치면 반발할 가능성이 큽니다. 아이가 자율적으로 건강한 식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혹시 감각 과민증이나 발달 장애 때문일 수도?

만약 아이가 특정 음식을 극도로 거부하거나, 단순히 싫어하는 것이 아니라 강한 공포감을 보인다면 감각 과민증이나 발달 장애 가능성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 감각 과민증이 있는 아이는 특정 질감, 온도, 냄새에 강한 거부감을 가질 수 있습니다.
✔ 피망이 들어간 음식은 조금만 있어도 알아채고 거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이럴 땐 억지로 먹이기보다 먹을 수 있는 대체 음식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마무리

아이의 편식은 성장 과정에서 자연스러운 현상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편식을 극복할 수 있도록 부모가 유연한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억지로 먹이지 않고, 다양한 조리법을 시도해 보세요.
✅ 식사를 즐겁게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세요.
✅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작은 변화를 격려해 주세요.

부모의 긍정적인 태도가 아이의 식습관 형성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편식으로 고민하고 있다면, 오늘부터 작은 변화들을 하나씩 시도해 보세요!

댓글